두번째 시간입니다. 

 

첫번째 글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Hugo + gihub.io 개발블로그 만들기 (1)

 

Hugo + gihub.io 개발블로그 만들기 (1)

티스토리의 편리함은 종종 글을 올려주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개발블로그로 관리할 것의 고민은 늘 있었다. 블로그도 블로그지만, 책을 출판하고 싶은 욕심이 있었다. 종종 개발블로그를 보아왔지만, 개발블로거..

cozydatascientist.tistory.com


Content Organization

가장 빠른 방법은 기존에 만들어진 싸이트에 하나씩 수정하는 것이 가장 쉽고 간편하다. themes 사용하는 건, 단순하다. 쉽게 Build 하기 위해서다. 아래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구조가 있는데, 이것을 최소한 살리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좋다. 

 

그러면, github.io에 호스팅하는 방법만 알면 되지 않을까? 

$ cd themes/hugo-theme-techdoc/exampleSite/content
$ tree
.
├── _index.md
├── about.md
├── archives
│   ├── hello_world.md
│   ├── hello_world1.md
│   └── hello_world2.md
├── blog
│   ├── hello_world.md
│   ├── hello_world1.md
│   └── hello_world2.md
├── chapter1
│   ├── 1.md
│   ├── 2.md
│   ├── 3.md
│   ├── 4.md
│   └── _index.md
├── chapter2
│   ├── 1.md
│   ├── 2.md
│   ├── 3.md
│   ├── 4.md
│   └── _index.md
├── chapter3
│   ├── 1.md
│   ├── 3.md
│   ├── 4.md
│   ├── _index.md
│   └── chapter3-2
│       ├── 1.md
│       ├── 2.md
│       ├── 3.md
│       ├── 4.md
│       └── _index.md
├── entry
│   ├── hello_world.md
│   ├── hello_world1.md
│   └── hello_world2.md
├── getting-started
│   ├── _index.md
│   ├── configuration.md
│   ├── installation.md
│   └── screenshot.md
├── hello_world.md
├── post
│   ├── creating-a-new-theme.md
│   ├── goisforlovers.md
│   ├── hugoisforlovers.md
│   └── migrate-from-jekyll.md
├── posts
│   └── hello_world.md
└── sample
    ├── _index.md
    ├── build-in-shortcodes.md
    ├── custom-shortcodes.md
    └── table-of-contents.md

 

우선 README.md에 나와 있는대로 localhost에서 구동을 시켜본다. (README.md 참고)

### Preview exampleSite

```
cd /path/to/dir/themes/hugo-theme-techdoc/exampleSite

hugo server --themesDir ../..
```

그러면 위와 같은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이제 간단하게 수정을 해보자. 기본적인 것은 config.toml 에서 수정을 하면 된다. 잘 짜여진 config.toml은 아래와 같다. 

baseURL = "https://example.com"

languageCode = "en-us"
DefaultContentLanguage = "en"
title = "Data Science | Evan"
theme = "hugo-theme-techdoc"

hasCJKLanguage = true
metaDataFormat = "yaml"

pygmentsCodeFences = true
pygmentsUseClasses = true

defaultContentLanguage = "en"
defaultContentLanguageInSubdir= false
enableMissingTranslationPlaceholders = false

[Params]

    # Source Code repository section
    description = "put your description"
    github_repository = "https://github.com/thingsym/hugo-theme-techdoc"
    version = "0.8.2"

    # Documentation repository section
    # documentation repository (set edit link to documentation repository)
    github_doc_repository = "https://github.com/thingsym/hugo-theme-techdoc"

    # Analytic section
    google_analytics_id = "" # Your Google Analytics tracking id
    tag_manager_container_id = "" # Your Google Tag Manager container id
    google_site_verification = "" # Your Google Site Verification for Search Console

    # Open Graph and Twitter Cards settings section
    # Open Graph settings for each page are set on the front matter.
    # See https://gohugo.io/templates/internal/#open-graph
    # See https://gohugo.io/templates/internal/#twitter-cards
    title = "Data Science | Evan"
    images = ["images/og-image.png"] # Open graph images are placed in `static/images`

    # Theme settings section
    # Theme color
    # See color value reference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color
    custom_font_color = ""
    custom_background_color = ""

    # Documentation Menu section
    # Menu style settings
    menu_style = "open-menu" # "open-menu" or "slide-menu"

    # Date format
    dateformat = "" # default "2 Jan 2006"
    # See the format reference https://gohugo.io/functions/format/#hugo-date-and-time-templating-reference

    # path name excluded from documentation menu
    menu_exclusion = [
        "archives",
        "archive",
        "blog",
        "entry",
        "post",
        "posts"
    ]

# Global menu section
# See https://gohugo.io/content-management/menus/
[menu]
  [[menu.main]]
      name = "Home"
      url = "/"
      weight = 1

  [[menu.main]]
      name = "Twitter"
      url = "https://twitter.com/thingsym"
      weight = 2

# Markup configure section
# See https://gohugo.io/getting-started/configuration-markup/
[markup]
  [markup.tableOfContents]
    startLevel = 2
    endLevel = 4
    ordered = false

여기에서 가장 좋은 건 이름부터 바꿔주는 것이다. 어차피 홈페이지는 결국엔 디자인 싸움이 아니던가? 처음부터 만들려면 힘들고 어렵다. 잘 되어진 것을 유지보수 하는 것이 소위 말하는 개발의 첫번째! 

  • title = "Data Science | Evan"

  • description = "This is personal blog of someone who likes to write about Data Things"

그 외에 하나씩 스터디 하면서, 데이터 관련된 글도 작성하면서, 추가하려고 한다. 

Github

이제 어떻게 github와 연동해야 할까? 하는 중에... 공식문서를 발견했다.

 

Quick Start

Create a Hugo site using the beautiful Ananke theme.

gohugo.io

음.. 역시, '처음엔 무조건 삽질을 하는군' 하며.. 프로그래밍하면서 늘 느끼는 건, 공식문서를 봐야한다. 근데, 처음에 공식문서를 본다고 감이 오는 건 아니다. 삽질을 한번 해보면 왜 공식문서를 봐야하는지 알때가 있다. 

 

Github 연동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여기에는 프로젝트를 만들때 부터 이미 git과 연동시켜 놓았다. 

 

이제 공식문서를 빠르게 습득한다. 

# Step 1. Create new Site
$ hugo new site quickstart

# Step 2. Add a Theme % Configuration
$ cd quickstart
$ git init
$ git submodule add https://github.com/budparr/gohugo-theme-ananke.git themes/ananke
$ echo 'theme = "ananke"' >> config.toml

# Step 3. Add Some Content
$ hugo new posts/get_started.md

# Step 4. Start the Hugo server
$ hugo server -D

Github 저장소 2개 만들기

참조: https://github.com/Integerous/Integerous.github.io

 

Integerous/Integerous.github.io

:memo: Hugo로 github.io 블로그 만들기. Contribute to Integerous/Integerous.github.io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하나는 Hugo의 컨텐츠와 소스파일들을 포함할 <YOUR-PROJECT> 저장소 생성한다. (나의 경우 data_science_with_evan라는 이름으로 생성)

  • 다른 하나는 렌더링된 버전의 Hugo 웹사이트를 포함할 <USERNAME>.github.io 저장소 생성 (chloevan.github.io)

Remote와 Submodule 설정

  • 깃헙에 만든 blog 저장소를 local의 blog 디렉토리의 remote로 등록한다.

    • $ cd /somefolder/data_science_with_evan

    • $ git init

    • $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integerous/blog.git

  • integerous.github.io 저장소를 blog의 submodule로 등록한다.

    • $ git submodule add -b master git@github.com:integerous/integerous.github.io.git public

    • 이렇게 함으로 hugo 명령으로 public에 웹사이트를 만들 때, 만들어진 public 디렉토리는 다른 remote origin을 가질 것이다. 

    • public이 중요하다. public이 결국 웹사이트

    • 만약에 Permission Denied 문제가 발생이 되면 아래에서 해결한다. 

    • About SSH

 

Checking for existing SSH keys - GitHub Help

Checking for existing SSH keys Before you generate an SSH key, you can check to see if you have any existing SSH keys. Mac Windows Linux All Note: DSA keys (SSH-DSS) are no longer supported. Existing keys will continue to function, but you cannot add new D

help.github.com

Tips

  • Repository를 만들 때, user_name과 동일하게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github.io 저장소 이름을 지을 때, 아래와 같이, 같은 이름으로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https://github.com/yourname/yourname.github.io.git
  • 테마를 선정할 때, configuration이 쉬운 것을 택한다.

  • 배포할 때, 다른 환경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난, techdoc을 활용하고 싶었는데, development 환경을 npm을 설정해야 부분이 있었다. npm 설정 시, 내 컴의 생각지도 못한 오류가 있어서, 밤새 삽질했고, 404에러가 계속 생겨났다. 중요한 파트는 아니라 쓸데없는 시간 낭비를 하고 싶지 않아 결국 테마를 바꾸었다. 정말 중요하다. 비 개발자의 경우 이러한 configuration 오류가 발생 시, 계속 허탕을 칠 수 있으니 주의 바란다. 

Deploy

  • 우선 project 폴더 내에서 hugo -t 테마이름을 실행한다. 

  • public 폴더까지 만들었으면, 이제 git에 각각 저장하자.

  • public에서 git push 한 것은 your_name.github.io에 저장될 것이다. 

  • 그리고, 프로젝트 폴더로 와서 전체 git push를 진행하면 끝이다.

  • 다음 코드처럼 입력하면 된다. 
# project 폴더에 있다는 것으로 가정한다. 나의 경우 data_science_with_evan 폴더 내 였다. 
# public을 먼저 push 할 것이다. 

$ cd public # public으로 경로 이동
$ git add * # 
$ git commit -m "your commit message"
$ git push origin master


# project 경로로 이동 후 다시 push 한다
$ cd ..
$ git add *
$ git commit -m "your commit message"
$ git push origin master
  • 정상적으로 git push가 되었다면, http://user-id.github.io 복사 후 URL에 붙여넣기 하면 완성된 페이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티스토리의 편리함은 종종 글을 올려주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개발블로그로 관리할 것의 고민은 늘 있었다. 블로그도 블로그지만, 책을 출판하고 싶은 욕심이 있었다. 

 

종종 개발블로그를 보아왔지만, 개발블로거 보다는 사람들에게 보다 쉽게 데이터 분석을 알려줄 수 있는 Tools 소개하는 책을 출판하고 싶은 욕심은 늘 있어왔다. 

 

기존에 회사를 다닐 때는 원치 않는 일도 종종 해서, 개발블로그를 작성 및 관리할 기회가 없었지만, 앞으로는 이쪽 분야로만 계속 일을 해야 하니, 전통 통계, 머신러닝, 딥러닝, 시각화 등 빅데이터와 관련된 종합적인 글을 주기적으로 쓰는데 주안점을 두려고 한다. 

 

티스토리는 아마 백업용으로 관리가 되지 않을까 싶다. 티스토리 나름의 편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 시작해보자. 


Reference

  1. 블로그 구축기 1 (Hugo github.io). (2019, February 22). Retrieved March 14, 2020, from https://ialy1595.github.io/post/blog-construct-1/

  2. Integerous. (2020, March 12). Integerous/Integerous.github.io. Retrieved March 14, 2020, from https://github.com/Integerous/Integerous.github.io

  3. Korea, D. T. (2019, January 30). GitHub Pages를 이용한 기술 블로그 제작 후기. Retrieved from https://medium.com/deliverytechkorea/github-pages%EB%A5%BC-%EC%9D%B4%EC%9A%A9%ED%95%9C-%EA%B8%B0%EC%88%A0-%EB%B8%94%EB%A1%9C%EA%B7%B8-%EC%A0%9C%EC%9E%91-%ED%9B%84%EA%B8%B0-77ce4b5e5564

  4. kim, yoj. (2018, September 17). Hugo와 Github Pages를 이용한 기술 블로그 만들기 (1). Retrieved March 14, 2020, from https://yojkim.me/posts/how-to-make-blog-with-hugo/

 

블로그 구축기 1 (Hugo + github.io) | ialy's blog

22 Feb 2019, 20:07 블로그 구축기 1 (Hugo + github.io)

ialy1595.github.io

 

Integerous/Integerous.github.io

:memo: Hugo로 github.io 블로그 만들기. Contribute to Integerous/Integerous.github.io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GitHub Pages를 이용한 기술 블로그 제작 후기

개발자와 디자이너 부부의 첫 공식 작업 — 신범철, iOS Developer

medium.com

 

Hugo와 Github Pages를 이용한 기술 블로그 만들기 (1) | yojkim dev.

최근들어서 공부한 것에 대한 기록물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깨닫게 되었고 기술(?) 및 기타 활동을 적는 블로그 활동을 다시 시작해보려했다. 이전에 블로그를 구성했었을때는 Github pages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jekyll을 활용해서 구성해보았었는데 이전에 jekyll을 한 번 사용해봤으니 다른걸 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이번에는 hugo를 활용해서 블로그를 구성했고 여러분이 보고 있는 이 블로그가 바로 그 결과물이다. Homebrew를 이용해서

yojkim.me

1, 2번 글을 통해서 대략적인 감을 익혔고, 3번 글을 통해서 Hugo Vs. Jekyll 차이점을 알 수 있었고, Ruby라는 환경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번잡스러움을 피하기 위해 Hugo를 선택하는데 주저함이 없었다. 그러나, 자동배포에 관심이 많으신 '개발자 (Developer)'분들에게는 오히려 Jekyll이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사실 잘 모르겠다). 마지막 4번글을 통해서 Mac에서 Hugo를 활용한 github.io 개발 블로그를 만들었다. 


Why Hugo?

큰 이유는 없다. 편하다고 한다. Go 언어가 기반인 것은 흥미가 있다. 나의 첫 언어인 R 다음에 선택할 언어로 늘 항상 Go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Okay. Let's get it. 


Installation

당연한 얘기이지만, github 블로그를 만드는 것이니, 당연히 git이 설치가 되어야 한다. git 설치는 어렵지 않으니 Pass. git 환경구축은 여기서는 다루지는 않겠다. git이 처음이신 분들은... (어떡하지? 나중에 한번 작성해서 공유하겠습니다.)

brew install hugo

Homebrew를 이용해서 매우 간편하게 hugo를 설치할 수 있다. (macOS 기준)

brew가 없어요? 여기 클릭하세요! Homebrew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Check If hugo is correctly installed

 

~ % which hugo
/usr/local/bin/hugo

# show your version
~ % ls -l $( which hugo )
lrwxr-xr-x  1 your_user_name  admin  30 Mar 14 21:03 /usr/local/bin/hugo -> ../Cellar/hugo/0.67.0/bin/hugo

 

위 소스 코드가 정상적으로 나온다면 잘 설치가 된 것이다.


Create New Site

 

엥? 별다른 설정 없이 바로 New Site를 만들라고 한다. 일단, 기본 파일에 만들수는 없으니, 새로운 폴더를 만들고 거기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본다. 난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 % cd Documents
Documents % mkdir hugoBlog
Documents % cd hugoBlog
hugoBlog % hugo new site name_of_project

 

name_of_project 대신에 난 data_science_with_evan 이라 명했다. 

 

 

hugo new site name_of_project 명령어를 입력하면 여러 형태의 파일이 구성된다. 폴더 트리구조는 아래와 같다. 

 

.
└── data_science_with_evan
    ├── archetypes
    │   └── default.md
    ├── config.toml
    ├── content
    ├── data
    ├── layouts
    ├── static
    └── themes

 


Directory Structure

디렉토리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싸이트에서 확인하기를 바란다. 추후에 기회가 되면 번역해서 작업하도록 한다. 오늘은 일단 싸이트 구경좀 하자~ ^^

 

https://gohugo.io/getting-started/directory-structure/

 

Directory Structure

Hugo's CLI scaffolds a project directory structure and then takes that single directory and uses it as the input to create a complete website.

gohugo.io


config.toml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사실 이거다. config.toml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baseURL = "http://example.org/"
languageCode = "en-us"
title = "My New Hugo Site"

 

그런데, 처음에 웹사이트 만들때는 기본으로 만들 것이니, 일단 건드리지 않는다.


Theme Settings

hugo에는 다양한 종류의 웹사이트 테마가 있다. 블로그를 운영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테마가 있는데, hugo도 제공한다. 

 

https://themes.gohugo.io/

불러오는 중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테마가 있는데, 여기에서 하나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른다. 난 Techdoc이란 테마를 설정했다. 

 


개인 취향이니 본인이 원하는 걸 선택하면 될 것 같다. 이 다음이 중요하다.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github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거기에서, git 주소를 복사(copy)한다. 다시 프로젝트로 와서 /themes/에 경로를 지정한다. 

themes % git clone https://github.com/thingsym/hugo-theme-techdoc.git

tree 구조는 아래서 보는 것처럼 매우 많다. 

 

.
└── hugo-theme-techdoc
    ├── LICENSE.md
    ├── README.md
    ├── archetypes
    │   └── default.md
    ├── exampleSite
    │   ├── config.toml
    │   ├── content
    │   │   ├── _index.md
    │   │   ├── about.md
    │   │   ├── archives
    │   │   │   ├── hello_world.md
    │   │   │   ├── hello_world1.md
    │   │   │   └── hello_world2.md
    │   │   ├── blog
    │   │   │   ├── hello_world.md
    │   │   │   ├── hello_world1.md
    │   │   │   └── hello_world2.md
    │   │   ├── chapter1
    │   │   │   ├── 1.md
    │   │   │   ├── 2.md
    │   │   │   ├── 3.md
    │   │   │   ├── 4.md
    │   │   │   └── _index.md
    │   │   ├── chapter2
    │   │   │   ├── 1.md
    │   │   │   ├── 2.md
    │   │   │   ├── 3.md
    │   │   │   ├── 4.md
    │   │   │   └── _index.md
    │   │   ├── chapter3
    │   │   │   ├── 1.md
    │   │   │   ├── 3.md
    │   │   │   ├── 4.md
    │   │   │   ├── _index.md
    │   │   │   └── chapter3-2
    │   │   │       ├── 1.md
    │   │   │       ├── 2.md
    │   │   │       ├── 3.md
    │   │   │       ├── 4.md
    │   │   │       └── _index.md
    │   │   ├── entry
    │   │   │   ├── hello_world.md
    │   │   │   ├── hello_world1.md
    │   │   │   └── hello_world2.md
    │   │   ├── getting-started
    │   │   │   ├── _index.md
    │   │   │   ├── configuration.md
    │   │   │   ├── installation.md
    │   │   │   └── screenshot.md
    │   │   ├── hello_world.md
    │   │   ├── post
    │   │   │   ├── creating-a-new-theme.md
    │   │   │   ├── goisforlovers.md
    │   │   │   ├── hugoisforlovers.md
    │   │   │   └── migrate-from-jekyll.md
    │   │   ├── posts
    │   │   │   └── hello_world.md
    │   │   └── sample
    │   │       ├── _index.md
    │   │       ├── build-in-shortcodes.md
    │   │       ├── custom-shortcodes.md
    │   │       └── table-of-contents.md
    │   └── static
    │       └── images
    │           ├── og-image.png
    │           └── pexels-photo-196666.jpeg
    ├── gulpfile.js
    ├── images
    │   ├── screenshot-edit-link.png
    │   ├── screenshot-open-menu.png
    │   ├── screenshot-slide-menu.gif
    │   ├── screenshot-theme-color.png
    │   ├── screenshot.png
    │   └── tn.png
    ├── layouts
    │   ├── 404.html
    │   ├── _default
    │   │   ├── baseof.html
    │   │   ├── list.html
    │   │   └── single.html
    │   ├── blog
    │   │   ├── li.html
    │   │   ├── list.html
    │   │   ├── single.html
    │   │   └── summary.html
    │   ├── index.html
    │   ├── partials
    │   │   ├── content-footer.html
    │   │   ├── custom-css.html
    │   │   ├── custom-head.html
    │   │   ├── edit-meta.html
    │   │   ├── edit-page.html
    │   │   ├── footer.html
    │   │   ├── global-menu.html
    │   │   ├── head.html
    │   │   ├── last-updated.html
    │   │   ├── menu
    │   │   │   ├── open-menu.html
    │   │   │   └── slide-menu.html
    │   │   ├── meta
    │   │   │   ├── chroma.html
    │   │   │   ├── google-analytics-async.html
    │   │   │   ├── google-site-verification.html
    │   │   │   └── tag-manager.html
    │   │   ├── notification.html
    │   │   ├── pagination.html
    │   │   ├── powered.html
    │   │   ├── prepend-body.html
    │   │   ├── sidebar-footer.html
    │   │   ├── sidebar.html
    │   │   ├── site-header.html
    │   │   └── table-of-contents.html
    │   ├── posts
    │   │   ├── list.html
    │   │   └── single.html
    │   └── shortcodes
    │       ├── button.html
    │       └── panel.html
    ├── package-lock.json
    ├── package.json
    ├── src
    │   ├── js
    │   │   ├── jquery.backtothetop
    │   │   │   ├── jquery.backtothetop.js
    │   │   │   └── jquery.backtothetop.min.js
    │   │   ├── keydown-nav.js
    │   │   ├── main.js
    │   │   └── sidebar-menu.js
    │   └── scss
    │       ├── _component.scss
    │       ├── _foundation.scss
    │       ├── _function.scss
    │       ├── _project.scss
    │       ├── _structure.scss
    │       ├── _variable.scss
    │       ├── chroma.scss
    │       ├── foundation
    │       │   ├── _element.scss
    │       │   ├── _normalize.scss
    │       │   ├── _reset.scss
    │       │   └── _stack.scss
    │       ├── function
    │       │   ├── _calc-font-size.scss
    │       │   ├── _calc-stack.scss
    │       │   ├── _contrast-color.scss
    │       │   └── _strip-unit.scss
    │       └── theme.scss
    ├── static
    │   ├── css
    │   │   ├── chroma.css
    │   │   ├── chroma.min.css
    │   │   ├── theme.css
    │   │   └── theme.min.css
    │   └── js
    │       └── bundle.js
    ├── theme.toml
    └── webpack.config.js

35 directories, 123 files

config.toml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사실 이거다. /themes/hugo-theme-techdoc 폴더가 있는지 확인한다. 다른 테마를 설정했다면, 당연히 다른 이름이 들어갈 것이니 체크한다. 

 

그 다음 해야할 일은 config.toml 파일을 열고 theme = "hugo-theme-techdoc" 입력한다. 

baseURL = "http://example.org/"
languageCode = "en-us"
title = "Data Science | Evan Jung"
themes = "hugo-theme-techdoc"

위와 같이 수정했다. 

Server

수정이 끝나고 나면 한번 localhost에서 실행이 되는지 확인해보자. 보통 이러한 테마에는 README.md 파일이 있는데, 서버 실행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다. 

 

내 README.md 파일에는 아래와 같이 있었다. 

 

### Preview site

To preview your site, run Hugo's built-in local server.

```

hugo server -t hugo-theme-techdoc

```

Browse site on http://localhost:1313

 

위 서식대로 따라해본다. 이 때, 디렉토리는 개인 프로젝트(나의 경우 data_science_with_evan) 하단에서 실행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하자

data_science_with_evan % hugo server -t hugo-theme-techdoc

그다음 http://localhost:1313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왔다. 

 

오! 신기하다! 

그 다음 진행해야 하는 것이 Content Organization인데, 이 부분은 다음에 한다. 

아직! github.io 형태의 웹사이트가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역시 뭐든지 글쓰면서 동시 병행하니, 3-4시간만에 뚝딱 만들어지는 건 없나보다! 그럼 내일 계속 만들어봅시다. 

 

다음편에 계속

불러오는 중입니다...

 

1. 사이트 맵이란?


사이트맵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과 각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이유는 매우 간단합니다. 

내가 작성하는 블로그 또는 우리 회사의 웹사이트가 많은 사람들에게 

검색되어지기 위해서.

구글은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Google과 같은 검색엔진은 이 파일을 읽고 사이트를 더 지능적으로 크롤링하게 됩니다. 사이트맵은 크롤러에게 내가 사이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파일을 알리고 이러한 파일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사이트 맵 등록 방법은?

먼저 XML 생성기 싸이트에 방문합니다. 


(1) 싸이트 URL에 블로그 또는 회사 싸이트를 입력합니다. 

(2) Optional Sitemap Types과 Last Modification, Frequency에서 사이트 환경에 맞게 선택하여 주세요. 

(3) Create Sitemap을 클릭하면 3-5분 (제 티스토리 싸이트 기준) 소요되면 Broken Links와 XML sitemap에서 Download를 진행합니다. 

(4) 티스토리 사이트맵을 관리-서식관리에서 작성 후 아래와 같이 등록합니다. 



(5) 사이트맵이 등록된 페이지를 확인한 후 아래와 같이 xml 파일 주소를 복사(Copy) 합니다. 


3. 구글에서 내 웹사이트가 검색되어질 수 있도록 웹사이트 등록하기

(1) 구글 검색창에서 구글 서치콘솔을 검색하셔도 되고, 아니면 직접 해당페이지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구글사이트맵 테스트 도구를 클릭하셔도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나올 것입니다. (참고로 전, 예전에 이미 등록해 둔 웹사이트가 있어서 그래프가 보여지는 것 뿐입니다.)



(2) 오른쪽 빨간색 버튼 (속성 추가 또는 ADD A PROPERTY)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웹싸이트를 입력합니다. 


(3) 웹싸이트 소유권 확인을 위한 절차입니다. 티스토리는 HTML 편집이 쉽기 때문에 HTML 태그를 활용하겠습니다. 


(4) 스킨편집을 클릭합니다. 


(5) 스킨편집에서 html 편집을 클릭합니다.  


(6) HTML에서 HTML 메타태그를 입력한 뒤 적용합니다.   


(7) 구글 서치 콘솔에서 확인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소유자 확인이 완료된 것입니다. 

4. 웹사이트 등록 후, 사이트맵 테스트 하기

(1) 이제 마지막으로 사이트맵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새로운 Search Console 사용를 클릭합니다.   



(2) 다운받은 sitemap.xml을 블로그에 올린 뒤 파일로 첨부합니다. 그리고, 해당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이 링크를 복사합니다. 



(3) 구글 서치콘솔에서 아래와 같이 새 사이트맵에 링크 주소를 복사한 후 제출합니다. 


(4) 아래와 같이 사이트맵 처리 완료가 되면 이제 끝입니다. 


이제 모두 끝입니다. 글을 올린 뒤, 최소한 한달에 한번정도는 사이트맵을 정기적으로 제출해야 검색이 잘 됩니다. 

모든 건, 늘 그렇듯이 꾸준해야 합니다. 

2018년 12월 31일 오후 11시~~~ Happy New Year




+ Recent posts